01 현행 제2언어 습득 연구의 배경 1
1.1 제2언어 연구의 목표 _1
1.2 본 서의 범위 _6
1.3 초기의 제2언어 습득 연구 _9
02 제2언어 습득의 순서 31
2.1 문법 형태소 _31
2.2 부정과 학습자의 언어 체계 _44
2.3 제2언어 습득 단계에 대한 설명 _53
2.4 단계의 개념 _56
2.5 문법 형태소와 부정 연구의 통사적 측면 _57
2.6 제2언어 습득 연구의 관찰 데이터 _57
03 입력 가설 모델 63
3.1 다섯 가지 가설 _63
3.2 Krashen의 입력 가설에 대한 증거 _69
3.3 기타 가설에 대한 증거 _78
3.4 제2언어 습득 연구 모델 _81
04 혼합 파격어, 크레올어, 그리고 변이 87
4.1 혼합 파격어화와 문화적응 _87
4.2 크레올어와 제2언어 습득 _99
4.3 제2언어 습득과 변이 _103
4.4 제2언어 사용과 제2언어 학습 _112
05 다차원 모델과 교수능력 가설 117
5.1 독일어에서 습득의 순서 _117
5.2 원래의 다차원 모델 연구에 대한 부연 _124
5.3 다차원 모델에 대한 언어학적 기초 _128
5.4 다차원 모델에 대한 처리과정의 논리적 근거 _133
5.5 방법론적 쟁점 _134
5.6 심리학적 처리 모델의 일반적인 함축 _136
06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들 141
6.1 학습 전략들 _141
6.2 의사소통 전략과 보상 전략 _149
6.3 전략 연구에서 방법론적 쟁점들 _163
6.4 언어학과 전략 연구 _167
07 관계절: 구 구조 통사론을 넘어 173
7.1 관계절과 접근 위계 _176
7.2 관계절과 심리적 작용 _184
7.3 관계절의 제2언어 습득과 언어학 _189
7.4 제2언어 습득 연구의 이해와 실험 _190
08 통사론의 원리와 매개변항 195
8.1 원리와 매개변항 이론의 개념: X-BAR 통사론 _196
8.2 인칭대명사 삭제 매개변항과 굴절 구 _200
8.3 결속이론 _214
8.4 핵어-방향 매개변항(원리 분지 방향) _232
8.5 통사론과 제2언어 습득 연구 _245
09 보편문법과 제2언어 습득 247
9.1 언어 습득의 보편문법 모델 _247
9.2 제2언어 학습자들의 보편문법과 하위인접성 _262
9.3 보편문법과 독일어 어순 _279
9.4 보편문법 관련 연구의 증거와 문법성 판단 _290
9.5 보편문법과 다중 언어 능력 _296
10 제2언어 습득 연구의 인지주의적 접근법들 301
10.1 Andersen의 ACT 모델 _301
10.2 일시적 변이 _306
10.3 정보 처리 _310
10.4 MacWhinney의 경쟁 모델 _313
10.5 계획과 목표 _320
10.6 인지 이론의 다른 특성 _321
10.7 방법론 _323
10.8 언어적 배경 _325
10.9 언어학과 제2언어 습득 _328
학습활동 331
참고문헌 347
찾아보기 373